은행별 한도 계좌 해제 방법
2015년 이후 입출금 게좌를 비대면으로 개설하는 경우 (대면 계좌도 가끔은 적용됨) 한도 계좌로 개설이 됩니다. 한도 계좌 해제 방법을 사용해야만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계좌로 바꿀 수 있는 것이죠.
은행별로 해제 방법에 대한 안내는 조금씩 다릅니다만, 대체적으로는 아래와 같이 진행됩니다.
한도 계좌 해제 방법
한도 제한 계좌는 은행에 따라 1, 2단계로 나눠지거나 1, 2, 3단계로 나눠지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기준에서 1단계는 하루 이체 및 인출 한도는 30만원, 2단계는 70만원, 3단계는 150만원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때 이체라는 것은 내가 받을 수 있는 금액의 한도가 아니라, 내가 당행이나 타행으로 이체하는 경우를 뜻합니다. 받는 금액은 제한이 없습니다. (누가 좀 큰 돈을 이체 해 주었으면…)
즉, 은행 입장에서는 들어오는 돈은 별 상관 없고, 나가는 돈이 보이스피싱 등에 악용되지 않도록 제한을 걸어두는 것이죠.
이 계좌를 정상적으로 사용한다는 목적이 있다고 밝혀져야 그때서야 한도 해제가 가능해 집니다.
즉, 이 계좌를 활발하게 사용한다든가 (지속적인 사용) 명확한 목적이 있게 사용한다면 (급여, 공과금 납부 등) 일반적인 계좌로 인정해서 한도 걸린 것을 풀어줍니다.
앱에서 쉽게 해제가 되는 은행도 있고, 그렇지 않은 은행도 있습니다.
이런 부분에 대해서 어떤 분께서 다양한 은행을 직접 경험하면서 정리한 노하우를 제가 또 한 번 정리를 해 보도록 하겠씁니다.
은행별 한도 계좌 해제
은행별로 직접 경험하신 분의 이야기입니다. 여기 나오는 방식이 모두 적용되는 것은 아닐 수 있습니다. 추가로 한도 계좌 해제 하신 분들의 사례가 발견되면 추가 업데이트 됩니다.
기업은행 : KT전화 요금 3개월 자동이체를 시킨 후 직원 확인 후 해제
경남은행 : 모바일 비대면 계좌 개설로 만든 한도 계좌, 신용카드 발급 후 자동이체를 해당 계좌로 적용한 후 한도제한 계좌를 풀어 줌
부산은행 : 모바일 비대면 계좌 개설을 했더니, 처음부터 일반 계좌
대구은행 : 모바일 비대면 계좌 개설을 했더니, 처음부터 일반 계좌
카카오뱅크 : 관리비 청구서 제출을 하니 한도제한이 해제 됨
케이뱅크 : 적금 계좌를 만든 이후 자동이체를 걸어 놓은 후 한도제한 계좌 해제됨
신한은행 : 가장 어렵다고 알려진 은행이지만, 의외로 아주 쉽게 ‘비상금 대출’을 받으면 한도제한이 쉽게 풀린다고 함
제주은행 : 개설하면 한도제한이 있으나, 카드 대금을 선결제 후 한도제한계좌 해제 신청을 했더니 일반계좌로 전환이 됨
위와 같은 사례들이 있었습니다. 한도 계좌 해제 방법에 대해 모든 은행을 다루지는 못했으나 향후 추가 사례가 발견되면 업데이트를 할 예정입니다.
보이스피싱 등의 범죄를 예방하기 위함이라고 하지만, 앉은 자리에서 뚝딱 자신의 모든 계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이런 시대에서 한도 제한 계좌를 쉽게 일반 계좌로 돌릴 방법에 대해 어렵게 해 놓은 부분은 조금 이해가 안 가기는 합니다.
본인 인증 수단이라든가, 정상적인 거래에 대한 증빙 등이 쉽게 온라인으로 가능할 것 같으니까요. 하지만, 우리의 재산을 보호해 주기 위함이니 불편해도 일부는 참으면서 지내야 할 것 같습니다.